본문 바로가기
[경제] 부자 도전 일기/환테크

[환테크] 잃지않는 투자, 세븐 스플릿 달러 투자

by 부를향한도전 2023. 1. 31.

썸네일

저는 오늘도 달러 환전으로 환차익을 노린 자금을 투입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달러투자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투자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해당 내용은 박성현 작가님의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책에서 얻게된 인사이트로,

쉽게 풀어서 설명하면, 투자 원금을 7개로 쪼개서 각자 다른 인격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환테크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이해가 아주 잘 되실겁니다!

 

 

[환테크] 알고보면 가장 쉽고 안전한 달러 투자!

1. 저는 달러 환차익을 노리는 환테크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주변 분들에게 말씀을 드리면 빈번하게 돌아오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수수료가 비쌀 텐데 그게 돈이 됩니까?" "변동이 발생할 땐

therichchallenge.tistory.com

1. 1번말과 2번말은 별개의 생명체

저는 제가 더 몰입하기 위해서 이 7개의 투자금에 1번말, 2번말 처럼 번호를 부여한 한 마리의 말로 이미지를 세팅합니다.

예를들어 제 자산이 7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세븐 스플릿을 진행하면 말 한마리당 100만원이 되겠지요?

환율이 1,200원 일 때 1번말을 투입한다고 가정합니다. ($833.33)

운좋게 환율이 1205원이 되면서 환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조건에 도달합니다.

이럴 경우 1번말을 다시 회수하면서, 833.33 X 5 = 4,166.7 원의 환 차익을 얻게됩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환테크의 원리입니다.

하지만 세븐 스플릿의 진면목은 오히려 1번말을 투입한 환율 1,200원보다 환율이 떨어질 때 드러납니다.

환율이 1,197원이 되었을 때, 보통 물렸다고 표현할 수 있겠지만 이 때 오히려 2번 말을 투입합니다. ($835.42)

주식에서 분할매수를 많이 진행해보신 분들은 이게 뭐가 특별한 시스템인지 의문을 제기하실 수 있습니다.

분할매수와 다른점은 1번말과 2번말은 개별적인 생명체로 취급된다는 것입니다.

 

1번말은 1,200원보다 이익이 날 때 까지 탈출하지 못하지만, 2번말은 1,197원에 투입되었으므로

1,200원에 도달하면 수익을 보며 탈출합니다. (835.42 X 3 = 2,506.3 원)

 

만약 2번말이 투입된 환율인 1,197원보다 더 환율이 떨어져서 1,193원이 된다면 이 때가 3번말을 투입할 시점인 것입니다.

굳이 7번말까지 쪼개놓는 이유는, 리스크 헷지 개념이고 그래야만 환율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시점에서 돈이 묶이지 않은 채

지속적인 이익 창출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2. 현재 기준 투자 현황

현재 저의 달러 투자는 2번말까지 투입이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 1번말 : $1,099.11 (환율 1,232.83 시점에 투입)
  • 2번말 : $4,069.07 (환율 1,228.78 시점에 투입)

2번말에 현금자산 흐름이 확보되어서 새로운 스플릿 단위로 들어가긴 했지만, 현재 실시간 환율이 1,233.87원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일 영업일에 비슷한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2번말은 좋은 이익으로 탈출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24시간 환전이 가능한 한국투자증권으로 환전할 걸 그랬습니다 ^^

# Date app $ rate 우대율 실제 적용가 계산식
#1 2023-01-27 한투 $1,099.11 1232.83 95% ₩1,355,015 ₩1,355,016
#2 2023-01-31 키움 $4,069.07 1228.78 95% ₩4,999,991 ₩4,999,992

사실 오늘 환전은 노림수가 좀 있습니다.

이전에 제가 업로드한 FOMC 발표일이 훌쩍 다가온 것인데요.

베이비 스텝의 금리 인상이 확실시 된 상황에서 시장에 활기가 돌 것을 예상해 미리 미국 주식에 일부를 투자할 생각입니다.

 

'가치에 대응하되 예측하지 않는다' 라는 원칙을 떠올리면 아주 무섭기만 하지만

여태 역사적으로 돈이 흘러왔던 흐름에 한번 편승해보고 그 결과 또한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