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고자료] 투자론의 이해

기술적 분석에 대하여

by 부를향한도전 2022. 12. 27.

< 기술적 분석의 의의와 이론적 기초 >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이란 과거의 주가 및 거래량의 변화, 투자자의 감정(investor sentiment)을 근거로 미래의 주가 동향을 예측하려고 하는 분석기법을 말한다. 기술적 분석을 신봉하는 기술적 분석가(echnical analysts)들은 과 거의 주가변화나 거래량변화를 검토하면 미래의 주가변화의 예측과 투자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의 변화로부터 반복되거나 규칙적인 패턴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도표나 그래프를 활용하고 있다. 즉, 기술적 분석가들은 미래의 주가나 시장의 향방이 상승국면으로 갈 것인가 아니면 하락국면으로 갈 것인가에 관한 신호, 즉 강세신호(bullish signals)와 약세신호(bearish signals)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기술적 분석의 이론적 기초라 할 수 있는 기본전제는 다음과 같다.

  • 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 수요와 공급은 합리적 혹은 비합리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이들 요인에는 경제변수와 같이 기본적 분석에서 사용하는 것도 있고, 투자자들의 의견 기분(moods) 추측(guesses)과 같은 심리적인 것 들도 있다.
  • 증권시장에서 사소한 불규칙한 변동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개별 주식의 가격 및 주가지수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추세를 형성하면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 추세의 변화는 해당 주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결정하는 요인의 변동에 의하여 초래된다.
  • 수요와 공급의 변동은 그 발생이유에 관계없이, 주가나 거래량에 관한 도표 (charts)에 의해 포착될 수 있다.
  • 도표에 나타난 일부 패턴은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결국 기술적 분석은 주가나 거래량의 변화로부터 반복되는 패턴을 발견하고 이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려는 기법으로 요약될 수 있다. 기술적 분석의 전제에서 분장적인 것은 주가에 장기적 추세가 형성된다는 것인데, 이른 주식의 수요와 공급의 변동을 초래하는 요인에 대한 주가의 조정속도(speed of adhustment)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효율적 시장가설(EMED)과는 맞지 않는다.

기술적인 분석방법에 속하는 주가분석 또는 주가예측기법은 매우 많다. 대부분의 기법은 (1) 과거의 주가변화 및 거래량자료를 도표(charts)에 기록하고, (2) 도표로부터 가격변화 및 거래량변화의 추세나 반복적 패턴을 찾아낸 다음, (3) 이를 이용하여 미래의 주가변화를 예측하거나 매수시점 매도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다우이론과 그 적용 >

1. 다우이론의 개요

다우이론(Dow theory)은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분석기법으로서,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l Joural)을 창간한 찰스 다우(Charles Dom)가 고안한 것이다. 다우이론은 1930년대에 그 명성이 최고에 달하였다. 이 것은 1929년 10월 23일 "월스트리트저널"에 주식시장의 붕괴를 정확하게 예고한 사설 대세의 전환(A Turn in the Tide)이 발표되었는데, 이 예고가 다우이론에 기초를 둔 것이었기 때문이다. 다우이론은 증권시장 전체의 미래 동향이 활향 국면일 것인가 침체국면일 것인가를 예측하는 데 주로 이용되나 개별 주식의 주가예측에도 이용되고 있다.

다우이론은 개별 주가나 주가지수의 움직임을 세 가지로 구분한다.

장기추세(primary trends)

단기추세란 대세의 판단에 별로 중요하지 않은 매일매일의 주가변화를 말하다. 중기추세는 수주 혹은 수개월간 지속되는 주가변동으로서 장기추세로부터의 단기적 이탈을 의미하고, 장기추세는 수개월 혹은 수년간의 장기간에 걸친 증권 시장의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서 강세시장(bullmarkets)과 약세시장(bear markets)으로 구분된다. 다우 이론에서는 단기추세는 의미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주로 중기추세의 변동양상을 분석하여 장기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을 포착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2. 지지 수준과 저항 수준

다우이론은 주가에 지지 수준과 저항 수준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지지 수준(support level)이란 특정 주식 혹은 주가지수가 그 아래로는 하락할 가능성이 없는 가격 혹은 지수 수준을 말한다. 반면에 저항 수준(resistance level)은 특정 주식 혹은 주가지수가 그 이상으로는 상승하기 어렵다고 간주되는 가격 혹은 지수 수준을 말한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중기추세를 이용하여 특정 주식 혹은 지수가 과거 일정 기간 중 도달했던 가격의 최저 수준을 지지 수준으로, 최고 수준을 저항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정 주가 혹은 지수가 중기추세의 지지 수준을 뚫고 더 하락한다면 이는 약세시장의 도래로 해석하고, 저항 수준을 뚫고 더 상승한다면 이는 강세시장의 도래로 해석하게 된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지지 수준이나 저항 수준이 투자자들의 심리적 특성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LG전자 주식이 과거 수개월간 최저 70,000원과 최고 80,000원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었고, 최근 70,000원 선에서 머물던 주가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80,000원이 저항 수준으로 설정되는데 그 이유는 60,000원대에 이 주식을 샀던 투자자들이 손익분기를 이룰 수 있을 때 주식을 팔아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가가 80,000원에 이르면 강한 매도압력이 발생하여 그 이상의 상승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도 70,000원 매에서 강한 매수압력이 들어오기 때문에 70,000원은 지지 수준이 된다.

댓글